도산십이곡0303
metarki
개요[편집]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 지은 12수의 연작시조로 본문은 이황의 친필을 새긴 것이다.
내용[편집]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 지은 12수의 연작시조로 본문은 이황의 친필을 새긴 것이다. 이황은 앞의 여섯 수를 전육곡(前六曲), 뒤의 여섯 수를 후육곡(後六曲)으로 나누고 전육곡은 본심을 말한다는 뜻의 ‘언지(言志)’, 후육곡은 학문을 말한다는 뜻의 ‘언학(言學)’이라 이름 붙였다. 언지에서는 자연을 마치 병을 앓는 것처럼 사랑하는 자신의 마음을 읊었고, 언학에서는 학문과 수양을 통해 마음이 순수하고 올바르게 됨을 읊었다. 발문에 우리말로 노래 부르고 춤추어 감동 받다 정화되는 것이 도학(道學)의 길이라고 말해 우리말로 시를 짓고 노래 부르는 행위의 의의를 밝혔다.[1]
시각자료[편집]
관련항목[편집]
중심 | 관계어 정의 | 대상 |
---|---|---|
이황 | created : 다음 대상을 저술했다 | 도산십이곡0303 |
도산십이곡0303 | isModelledOn : 다음 대상을 본보기로 삼았다 | 무이구곡도가 |
도산십이곡0303 | isNamedAfter : 다음 대상의 이름을 땄다 | 도산 |
언지 | isMentionedIn : 다음 대상에 서술되어 있다 | 도산십이곡0303 |
언학 | isMentionedIn : 다음 대상에 서술되어 있다 | 도산십이곡0303 |
시간정보[편집]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도산십이곡0303 | 창작연대 | 조선중기 |
도산십이곡0303 | 간행연대 | 조선후기 |
공간정보[편집]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도산십이곡0303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참고문헌[편집]
주석[편집]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0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