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이구곡도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편집을 하게 되면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보여집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 시에 다른 이점과 함께 사용자 이름이 표시됩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편집 되돌리기를 완료하려면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This page supports semantic in-text annotations (e.g. "[[Is specified as::World Heritage Site]]") to build structured and queryable content provided by Semantic MediaWiki. For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n how to use annotations or the #ask parser function, please have a look at the getting started, in-text annotation, or inline queries help page.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작품정보
+
작성 중
|대표명칭 = 무이구곡도가
 
|DB유형 = 한글고문서
 
|ID =
 
|한글작품명 = 무이구곡도가
 
|한자작품명 = 武夷九曲櫂歌
 
|로마자표기 =
 
|영역작품명 =
 
|작자 = 주희(朱熹)
 
|역자 =
 
|편자 =
 
|연도1 = 1184
 
|연도1연호 =
 
|연도1연호년 =
 
|연도2 =
 
|연도2연호 =
 
|연도2연호년 =
 
|분류 = 문학/고전시가
 
|수량 =
 
|판종 =
 
|규격 =
 
|소장처 =
 
|문화재지정사항 =
 
|image = 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우.jpg
 
}}
 
 
 
==작품소개==
 
 
중국남송(南宋)의 성리학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朱熹)]가 중국 푸젠성(福建省) 무이산(武夷山) 계곡의 아홉 구비[九曲] 경치를 읊은 것이다. 무이산은 푸젠성의 제일 명산으로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동굴이 있는 경치 좋은 곳이다. 약 8㎞의 계곡에 자리한 구곡은 각각 승진동(升眞洞), 옥녀봉(玉女峯), 선기암(仙機巖), 금계암(金鷄巖), 철적정(鐵笛亭), 선장봉(仙掌峯), 석당사(石唐寺), 고루암(鼓樓巖), 신촌시(新村市)이다. 주희는 1183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1472&cid=50801&categoryId=50806 무이구곡]의 제5곡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을 썼고, 이듬해「무이구곡도가」를 썼다. 「무이구곡도가」는 첫 수를 제외하고는 무이구곡의 산과 물의 경치를 묘사하고 있다. 자연 묘사를 주로 하면서 도학(道學: 주자학·성리학)을 공부하는 단계적 과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20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무이구곡도'] 내용에서 발췌·편집.</ref>
 
 
 
==기록유산스토리자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1472&cid=50801&categoryId=50806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구곡도가|「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율곡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고산구곡가」]]를 지었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626 이황(李滉)]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희]를 흠모한 나머지 도산에 은거하면서 「도산십이곡」을 지었으며, 작품의 표현 방식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에서 발췌·편집(2016/12/27)</ref>
 
 
 
 
 
==대표 이미지==
 
[[파일: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좌.jpg|700픽셀|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좌)]] <br/> <br/>
 
[[파일: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우.jpg|700픽셀|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우)]]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무이구곡도가 || 전시자료 ||
 
|-
 
|무이구곡도가  || 보유 문화재 ||
 
|-
 
|무이구곡도가 || 관련 인물 ||
 
|-
 
|무이구곡도가  || 관련 공간 ||
 
|}
 
 
 
==갤러리==
 
<gallery>
 
파일: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좌.jpg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좌)
 
파일:무이구곡가_윤순거_초서_우.jpg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우)
 
</gallery>
 
 
 
==참조==
 
 
 
<references/>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작품]]
 
[[분류:남송]]
 

metar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Metar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