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r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개요==
 
==개요==
(*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해주 고산면의 석담구곡(石潭九曲)을 가리킨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이곳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은거의 뜻을 밝혔다. 이곳을 주제로 제작된 [[고산구곡도|<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489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 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아홉 곡은 각각 제1곡 관암(冠巖), 제2곡 화암(花巖), 제3곡 취병(翠屛), 제4곡 송애(松崖), 제5곡 은병(隱屛), 제6곡 조협(釣峽), 제7곡 풍암(楓巖), 제8곡 금탄(琴灘), 제9곡 문산(文山)을 말한다.<ref>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성남: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2쪽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8 '고산구곡도']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내용에서 발췌·편집.</ref>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해주 고산면의 석담구곡(石潭九曲)을 가리킨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이곳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은거의 뜻을 밝혔다. 이곳을 주제로 제작된 [[고산구곡도|<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8489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아홉 곡은 각각 제1곡 관암(冠巖), 제2곡 화암(花巖), 제3곡 취병(翠屛), 제4곡 송애(松崖), 제5곡 은병(隱屛), 제6곡 조협(釣峽), 제7곡 풍암(楓巖), 제8곡 금탄(琴灘), 제9곡 문산(文山)을 말한다.<ref>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성남: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2쪽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8 '고산구곡도']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내용에서 발췌·편집.</ref>
  
 
==기록유산스토리자원==
 
==기록유산스토리자원==
40번째 줄: 40번째 줄:
 
</html>
 
</html>
  
==관련 항목==
+
==연계 항목==
 
+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br/>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52번째 줄: 52번째 줄:
 
|-
 
|-
 
|고산구곡도 || 관련 공간 ||  
 
|고산구곡도 || 관련 공간 ||  
 +
|}
 +
(* 임시 테스트본)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유형 || 건수 || width="80%"|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
|-
 +
|문헌작품 || 1 || * [[Is a model of::고산구곡가]] 
 +
|-
 +
|문헌작품 || 1 || * [[Is a model of::고산구곡금탄]]
 
|}
 
|}
  

2017년 1월 3일 (화) 01:44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해주 고산면의 석담구곡(石潭九曲)을 가리킨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이곳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은거의 뜻을 밝혔다. 이곳을 주제로 제작된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아홉 곡은 각각 제1곡 관암(冠巖), 제2곡 화암(花巖), 제3곡 취병(翠屛), 제4곡 송애(松崖), 제5곡 은병(隱屛), 제6곡 조협(釣峽), 제7곡 풍암(楓巖), 제8곡 금탄(琴灘), 제9곡 문산(文山)을 말한다.[1]

기록유산스토리자원[편집]

  •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구곡도가|「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율곡은 고산구곡에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를 지었다고 한다.[2]

대표 이미지[편집]

고산구곡시화도 병풍(문화재청 공공누리)

위치[편집]

3D 실사가상현실[편집]

  • 현장 영상(아래는 임시 대체 영상)

연계 항목[편집]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고산구곡도 전시자료
고산구곡도 보유 문화재
고산구곡도 관련 인물
고산구곡도 관련 공간

(* 임시 테스트본)

유형 건수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문헌작품 1 * 고산구곡가
문헌작품 1 * 고산구곡금탄

갤러리[편집]

참조[편집]

  1.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성남: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2쪽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고산구곡가' 내용에서 발췌·편집.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에서 발췌·편집(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