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

metar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소개[편집]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1]

기록유산스토리자원[편집]

대표 이미지[편집]

고산구곡가 언문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

연계 항목[편집]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고산구곡가 전시자료
고산구곡가 보유 문화재
고산구곡가 관련 인물
고산구곡가 관련 공간

(* 임시 테스트본)

유형 건수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전시자료 1 * 고산구곡도

갤러리[편집]

참조[편집]

  1. 네이버 지식백과 '고산구곡가'의 검색결과로 나온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8)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의 내용에서 발췌·편집.(2016/12/27)
  2. 대표 이미지로 소개한 것은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 <고산구곡도> 항목에 소개된 한글본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에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