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

metarki
Metarki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3일 (화) 01:0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해주 고산면의 석담구곡(石潭九曲)을 가리킨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이곳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은거의 뜻을 밝혔다. 이곳을 주제로 제작된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 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아홉 곡은 각각 제1곡 관암(冠巖), 제2곡 화암(花巖), 제3곡 취병(翠屛), 제4곡 송애(松崖), 제5곡 은병(隱屛), 제6곡 조협(釣峽), 제7곡 풍암(楓巖), 제8곡 금탄(琴灘), 제9곡 문산(文山)을 말한다.[1]

기록유산스토리자원

  •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구곡도가|「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율곡은 고산구곡에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를 지었다고 한다.[2]

대표 이미지

고산구곡시화도 병풍(문화재청 공공누리)

위치

3D 실사가상현실

  • 현장 영상(아래는 임시 대체 영상)

연계 항목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고산구곡도 전시자료
고산구곡도 보유 문화재
고산구곡도 관련 인물
고산구곡도 관련 공간

(* 임시 테스트본)

유형 건수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문헌작품 1 * 고산구곡가
문헌작품 1 * 고산구곡금탄

갤러리

참조

  1.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성남: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2쪽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고산구곡가' 내용에서 발췌·편집.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에서 발췌·편집(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