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도 시맨틱 스토리텔링 자원

metar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편집]

고산구곡도 800x600.png

   본 작업은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의 전시자료 중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스토리텔링 자원을 구축해 본 결과물이다. <고산구곡도>와 관련하여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다양한 지식 정보들을 발굴·추출하여 관계망의 형태로 시각화하고, 이 지식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노드화·기사화 한 후, 각각의 기사들 자체에 외적인 관계성이 내재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의 창조와 스토리텔링 요소의 개발을 위한 데이터 추출·활용의 효율화와 고도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는 황해도 해주시 고산면 석담리에 있는 고산구곡(高山九曲)을 그린 그림이다. 고산구곡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했던 곳인데,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고산구곡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이곳에서 은거의 뜻을 밝혔다.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이이의 서현손(庶玄孫) 중 누군가가 처음 그린 <고산구곡도>를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의도에 따라 그의 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주도하여 1688년(숙종14)경에 완성한 그림으로 보인다. 그림의 전체 구성은 왼편 제1곡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제9곡에 이르기까지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각 곡에는 주요 경물의 명칭을 적어놓았고, 고산구곡의 실경과 고산구곡가의 시어(詩語)를 절충적으로 형상화 한 것이 특징이다. 두루마리 위쪽에는 각 곡마다 3편의 시가 적혀 있다. 김수증(金壽增, 1624~1701)이 한글로 쓴 이이의 고산구곡가가 먼저 나오고, 이를 송시열이 한문으로 번역한 시와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등 9명이 쓴 무이도가(武夷棹歌) 시를 차운한 시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1]

대상 자원 목록[편집]

일차 자원[편집]

  • 전시도록 도판자료 (2건)
ID 지식 노드 (1차 자원) 유형 도록page
보기
한자 자료명 로마자 표기 영역 자료명
F0124 고산구곡도 전시자료 242 高山九曲圖 Gosangugokdo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F0123 도산십이곡 전시자료 240 陶山十二曲 Dosansibigok Twelve poems of Dosan composed by Yi Hwang

이차 자원[편집]

  • 도판자료와 연계되는 지식 노드 중 아래 조건에 해당되는 대상들
    1. 네트워크그래프에 포함
    2. 위키기사 작성 및 내부 링크 대상
유형 건수 지식 노드 (2차 자원)
문헌작품 5 * 조선사료집진 * 고산구곡도설 * 옥소장계 * 고산구곡가 * 무이구곡도가
인물 1 * 권섭(1671-1759)
공간지명 1 * 고산구곡
개념 1 * 무이구곡도

삼차 자원[편집]

  • 도판자료와 연계되는 지식 노드 중 아래 조건에 해당되는 대상들
    1. 네트워크그래프에 포함
    2. 위키페이지는 만들되, 해당 항목에 대한 주요 설명은 외부 링크로 소개하고, 본 프로젝트와의 연계성에 대한 기사와 연계노드 목록만 작성
유형 건수 지식 노드 (3차 자원)
문헌작품 1 * 고산구곡금탄
인물 4 * 이이 * 이희조(1655-1724) * 이황(1501-1570) * 주희(1130-1200)
기관단체 1 * 기호학파
공간지명 1 * 무이구곡

데이터 관계망[편집]

참조[편집]

  1. 한글특별전 도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성남: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2쪽의 <고산구곡도> 해설문을 발췌·편집하되, 권섭의 「고산구곡도설」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 내용을 함께 감안하여 수정을 가하였다.